<p></p><br /><br />우리를 포함해 전 세계가 조심스럽게 ‘위드 코로나’로 가는 지금 중국은 여전히 ‘제로 코로나’를 지킵니다.<br> <br> 확진자가 나오면 건물을 아예 도시를 봉쇄시키는 일도 많은데요. <br><br>중국 14억 인구 중 단 한 명도 코로나가 없게 하겠단 고집은 왜 나오는 걸까.<br> <br> <세계를 가다> 베이징에서 사공성근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밀접접촉자 1명이 다녀갔다는 이유로 4만 9천여 명이 입장한 광저우 박람회장의 출구가 굳게 닫혔습니다. <br> <br> 꼼짝없이 갇힌 입장객들은 5시간 동안 모두 PCR 검사를 받고서야 귀가했습니다. <br><br> 상하이에서는 학교가 폐쇄돼 학생들이 교실 바닥에서 하룻밤을 보냈고 중국의 '실리콘 밸리'로 불리는 선전은 도시 전체가 봉쇄돼 기업 활동도 멈췄습니다<br><br> 확진자 한 명만 나와도 선제적으로 봉쇄해버리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조치입니다. <br><br> 채널A 베이징 지국도 나흘 동안 문을 닫아야 했습니다. <br> <br> 옆 건물에서 확진자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 상가는 모두 폐쇄됐고 사무실 출입도 철저히 검문을 받아야 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3일, 72시간 내 PCR 검사 결과 보여주세요! (매일 아침 필요한가요?) 네!" <br> <br>확진자가 발생했다는 이유로 아파트 단지를 이렇게 전면 봉쇄했습니다. <br> <br>입주민들은 아예 대문 밖에도 나오지 못하는데요. <br> <br> 어른 키보다 높은 철판까지 설치해 주민 이탈을 막고 있습니다.<br> <br> 물샐 틈 없이 2년 넘게 강력한 방역조치가 이어지자 중국인들의 피로감도 한계에 달했습니다. <br><br>"제로 코로나를 원하는 사람은 북한으로 가라", "인민의 자유가 희생되고 있다"면서 숨막힐 정도로 통제되는 사회를 향해 불만이 쏟아집니다. <br> <br> 원칙대로 움직이는 방역 요원과 마찰이 빚어져 곳곳에서 말싸움과 몸싸움도 벌어집니다. <br><br> 경제 침체 우려 속에 하루 확진자수가 최대 5천 명을 넘어섰고 14개월 만에 사망자도 나왔지만 '제로 코로나' 정책은 당분간 유지될 전망입니다.<br> <br>[미펑 / 중국 국가위생건강위 대변인] <br>"중국의 동적인 제로 코로나 정책과 조치들은 오미크론 변종 대처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됐습니다." <br> <br> 주요국 가운데 중국만 제로 코로나에 집착하는 이유는 뭘까? <br><br> 규제를 풀면 하루 최대 1천만 명의 확진자가 쏟아질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. <br> <br> 인구 대비 낮은 감염 수준을 근거로 공산당 정책과 체제가 서구보다 우월하다는 점도 강조합니다. <br> <br> 이번 가을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을 앞두고 정책 유턴을 쉽게 단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> <br> 다만 의료시스템 붕괴를 우려해 경증환자는 병원 대신 시설에 격리하는 조치를 내놓고 한발 후퇴했습니다. <br> <br>[문일현 / 중국 정법대 교수] <br>"확진자 발생 억제를 포기하고, 사망자나 위중증환자를 최대한 줄인다는 것입니다. 위드코로나로 전환을 위한 준비 조치로 보입니다." <br> <br> 제로 코로나와 경제 회복, 두 마리 토끼를 놓고 중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. <br> <br>사공성근 베이징 특파원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사공성근 기자 402@donga.com